경제용어사전

대기행렬이론

[queuing theory, waiting-line theory]

요구 서비스와 제공 서비스를 맞추는 데 쓰이는 계량적 기법. 서비스 제공기관의 수용능력을 평가하고 하루동안 다른 시간에 수용능력을 부과한다. 고속도로의 통행권 판매소나 은행 금전출납원의 수 등을 결정하는 것과 같이 비용과 서비스 수준을 맞추는 문제에 유용하다.

  •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공항이나 호텔, 전시관 등 공공장소에서 정보 및 광고 등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정보용 모...

  • 대출행태지수

    대출태도, 신용위험, 대출수요에 대한 금융기관의 판단을 5개 응답항목(크게 완화[증가], ...

  • 대출통화전환옵션

    대출을 받은 기업이 최초 대출받은 통화를 다른 통화로 변경할 수 있는 옵션. 한편, 통화전...

  • 대왕고래 프로젝트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경상북도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을 조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