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단위형 금전신탁

 

은행권의 간접투자상품 중의 하나로 고객이 맡긴 돈으로 주식투자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은행신탁상품과 차이가 난다. 운용결과 얻은 수익을 고객에게 다시 되돌려 준다. 판매기간이 남았어도 펀드 목표액이 채워지면 더이상 돈을 받지 않는다. 이처럼 펀드별로 각각 운용되는 까닭에 상품 이름을 단위형이라고 붙였다. 이 상품은 주식은 전혀 사지 않고 채권이나 기업어음 대출로만 운용하는 안정형(채권형)과 펀드자금의 10~20%를 주식으로 사들이는 안정성장형, 최대 30%까지 주식투자에 나서는 성장형 등으로 나누어진다. 투자자들은 자신의 성향에 따라 이들 상품 중 투자대상을 고를 수 있다.

  • 단체수의계약제도

    중소기업청장이 지정 공고한 단체수의계약 물품을 공공기관이 구매할 경우 해당 중소기업협동조합...

  • 디파이[decentralized finance, DeFi]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한 탈중앙화 금융을 말한다. 금융회사를 끼지 않고 결제, 송금, ...

  • 대출통화전환옵션

    대출을 받은 기업이 최초 대출받은 통화를 다른 통화로 변경할 수 있는 옵션. 한편, 통화전...

  • 드라이브[drive]

    드라이브는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인 플로피디스크 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작동시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