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GH마크

[Goods of Health Mark]

보건산업진흥원이 식품.약품.화장품.의료기기 등의 품질과 기능을 엄격히 평가해 기준을 통과한 제품에 부여하는 인증제도. 보건관련 제품 분야의 KS마크로 불린다.

인증을 받기 위해선 안전성, 우수성, 사후관리의 지속성 등 3가지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안전성은 식품위생법 등 관련 법률에 따른 생산 시설 기준 등을 충족시키면 되며, 어지간한 제품은 이를 통과한다. 하지만 제품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다음 단계는 만만치 않다. 비슷한 제품과 비교해서 뛰어나다는 점을 과학적으로 입증해야 하기 때문이다. 권위를 인정받는 국내외 연구소에서 임상, 성능시험을 통해 우수성을 뒷받침할 만한 연구결과를 얻어야 한다.

  • GDDR6 SDRAM[Graphics Double Data Rate 6 Synchronous Dynamic Random-Access Memory]

    2017년 7월 JEDEC(국제 반도체 표준 협의 기구)에 의해 표준화된 그래픽 메모리로,...

  • GS1[Global Standard #1]

    유통물류를 비롯한 전 산업에 사용되는 ''상품 식별용 바코드'', ''전자문서'', ''전...

  • GDR[Global Depositary Receipts]

    세계 주요 금융시장에서 동시에 발행·유통되는 주식예탁증서(DR)를 말한다. 국내 기업이 외...

  • GAFAM[Google, Apple, Facebook, Amazon and Microsoft]

    구글·애플·페이스북·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의 첫 글자를 더해 만든 용어. 미국 정보기술(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