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단주이론

 

단주란 10주 미만의 주식을 말하며 장외시장에서 거래된다. 거액투자자들은 높은 수수료 때문에 거래를 피하고 있지만 소액투자자, 초보자들은 거래를 하고 있으므로 단주의 거래현황을 종합하면 일반, 초보들의 거래상황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여기서 나타나는 현상은 단주거래지수와 종합주가지수가 반대 현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일반, 초보들의 시장동향파악 오류에서 생기는데 이들과 반대로 투자하면 좋은 결과를 얻는다는 게 단주이론이다. 단주거래지수는 매입단주 총수를 매각단주 총수로 나누어 구하는데 단주거래지수가 1보다 작으면 매입시점이고, 단주거래지수가 1보다 크면 매도시점이다.

  • 동박[elecfoil, copper foil]

    황산구리용액을 전기 분해해 만드는 두께 10㎛(1㎛=100만분의 1m) 이하의 얇은 구리 ...

  • 대안투자[alternative investment]

    주식이나 채권을 제외한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것. 대안 투자 자산 들은 보통 부동산, 곡...

  • 다동이

    다문화·동포·이주민의 머리글자를 따 만든 용어다.

  • 대상포진[herpes zoster]

    몸에 띠 모양으로 발진과 물집이 일어나는 질환으로 가려움증, 통증 등을 동반한다. 수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