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단주이론

 

단주란 10주 미만의 주식을 말하며 장외시장에서 거래된다. 거액투자자들은 높은 수수료 때문에 거래를 피하고 있지만 소액투자자, 초보자들은 거래를 하고 있으므로 단주의 거래현황을 종합하면 일반, 초보들의 거래상황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여기서 나타나는 현상은 단주거래지수와 종합주가지수가 반대 현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일반, 초보들의 시장동향파악 오류에서 생기는데 이들과 반대로 투자하면 좋은 결과를 얻는다는 게 단주이론이다. 단주거래지수는 매입단주 총수를 매각단주 총수로 나누어 구하는데 단주거래지수가 1보다 작으면 매입시점이고, 단주거래지수가 1보다 크면 매도시점이다.

  • 다크드래곤株

    2012년 임진년의 상징물인 흑룡(black dragon)과 유망주를 뜻하는 다크호스(da...

  • 다국적기업[multinational corporation]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국가에 생산설비 또는 기타 고정자산을 가지고 세계적 견지에서 주요 경...

  • 담보부족계좌

    개인계좌의 총 자산과 증권사로부터 투자를 위해 빌린 자금의 비율이 증권사가 정한 담보비율보...

  • 데드크로스[dead-cross]

    주가지수, 종목별 주가, 거래량 등 시계예화된 변수의 단기이동평균선이 하향세 또는 하향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