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농가직접지불제도

 

정부가 농가소득을 지원하는 정책의 하나. 그동안 주로 시행해 온 농산물 가격지지 대신 정부예산으로 직접 농가에 소득을 지원하는 제도다. 1994년 4월 타결된 세계무역기구(WTO) 농업협정은 시장기능과 무역을 왜곡하는 농업보조를 감축토록 하고 있다. 이 협정에서 허용하고 있는 것은 생산과 관계없는 소득지지, 소득보험이나 소득안정계획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 자연재해로 큰 손실을 본 농가에 대한 손실보전, 은퇴 등 이농 대상 농민에 대한 지원, 휴경에 대한 지원, 환경보전과 관련된 손실보전, 낙후지역 농민에 대한 소득손실 보전 등의 직접지불이다. 생산장려와 관련된 것으로는 투자지원을 통한 구조조정 지원이 유일하다. 반면 농산물 생산 및 가격과 연결된 쌀수매 등 시장가격지지, 경작장려금 지급 등은 감축토록 돼 있다.

1997년부터 실시되는 직접지불은 농업진흥지역에서 고령농가가 경작중인 논을 전업농이나 농업법인에 임대하거나 매도할 때 소득보조금을 주는 것으로 일종의 사회보장성격을 띠고 있다. 규모화를 촉진하여 쌀 생산의 효율을 높이자는 것이목적이다.

  • 농어촌상생협력기금

    2015년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국회 비준 당시 농민들의 반발이 거세자 여·야·정이...

  • 남북무역[south-north trade]

    남북무역은 선진공업국과 후진국간의 무역형태를 말한다. 대체로 공업국은 온대인 북반구에 위치...

  • 노히트 노런[no hit no run]

    선발 투수가 상대 팀을 무안타, 무득점으로 막아 이긴 게임. 볼넷, 몸에 맞는 볼, 실책으...

  • 노 로드 펀드[no-load fund]

    노 로드 펀드는 유형에 상관없이 펀드판매 비용이 연 0.25% 이하인 저비용 펀드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