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금융스트레스지수

[Financial Stress Index, FSI]

금융시장과 정책당국의 불확실한 요인에 따라 경제주체들이 느끼는 피로감을 계량화하여 산출한 지수를 말한다. 금융변수에 대한 기대값이 변하거나 표준편차로 표현되는 리스크가 커질 경우 금융스트레스가 높아진다.

캐나다 중앙은행의 경우 금융분야를 네 부문으로 구분하여 금융스트레스지수를 산출한다. 즉, 주식, 채권, 외환 시장과 은행부문이 금융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각 부문별 주요 변수들의 추출을 통해 부문별 스트레스지수를 산출하여 이를 가중 평균하는 방법으로 종합적인 금융스트레스지수를 산출한다.

이외에도 스웨덴 중앙은행과 스위스 중앙은행도 각각 균형상황지수(ECI·Equilibrium Condition Index)와 금융상황지수(FC·Financial Condition Index)를 개발한 상황이다.

  • 기업분할

    기업분할이란 인수합병(M&A)의 반대개념으로 기존 회사 사업부에 자본금과 부채를 나눠준 후...

  • 금융안전기금

    시장 상황의 급변시 금융회사에 유동성을 선제적으로 공급하는 기금. 글로벌 금융위기 이듬해...

  • 글로벌국채지수[World Government Bond Index, WGBI]

    씨티그룹이 발표하는 미국, 영국, 일본 등 23개 선진국 정부채권으로 구성된 투자지수. 세...

  • 과세전 적부심사청구제도

    납세자의 청구에 의해 세금고지서가 나오기 전에 그 처분의 타당성을 세무서 등의 과세관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