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환변동보험

 

기업이 환율 변동으로 입게 되는 손실은 보상하고 이익은 환수하는 보험제도를 말한다. 수출기업, 특히 환위험 관리여건이 취약한 중소 수출기업이 환위험을 손쉽게 헤지할 수 있도록 2000년 2월에 도입됐다. 이 보험은 공사가 보장하는 환율(보장환율)과 결제시점의 환율(결제환율)과의 차이에 따른 손익을 정산하는 것으로 금융기관선물환거래와 유사하다.

수출기업은 환변동보험을 통하여 계약금액을 원화로 고정시킴으로써 영업이익을 확보하고, 환율등락에 따른 환차손익을 제거할 수 있다. 환변동보험은 미국 달러화, 일본 엔화, 유로화 등 3개 통화에 대해 이용할 수 있으며 신용상 문제가 없는 수출기업들은 가입할 수 있다.

  • 휴먼FTA

    2015년 경제정책 방향 중 노동 분야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정책으로 외국 인력에 대한 문...

  • 홈텔레매틱스[home telematics]

    홈네트워크와 테렐매틱스의 신조어. 홈네트워크와 텔레매틱스의 기술이 융합되면서 차량 내부 단...

  • 한계수입[marginal revenue]

    재화 한 단위를 추가로 판매함으로써 발생하는 총수입의 변화분을 말한다. 총수입은 가격과 판...

  • 후지야마본드

    2015년 일본에서 발행을 검토중인 위안화표시채권으로 일본을 대표하는 후지산에서 명칭을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