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HACCP]

식품의 원료관리에서 제조, 가공 및 유통에 이르기 까지 최종 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의 각 단계에서 위해 물질이 해당식품에 혼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생 관리체계를 말한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가 각국에 식품안전성 확보와 식품의 국가간 원활한 무역을 위하여 도입·적용을 권고하고 있고 미국, 캐나다, EU 등 선진국이 자국의 식품안전관리를 위하여 의무적용을 시행하고 있다.

  • 산업 인터넷[industrial internet]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GE)사가 모든 산업의 장비들에 인터넷이 접목된다는 의미로 "사물인...

  • 스냅드래곤 X70 모뎀-RF

    글로벌 반도체기업 퀄컴이 2022년 3월 1일 MWC 2022 전시장에서 공개한 5G(5...

  • 싱글사인온

    하나의 ID로 여러 포털사이트를 이용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백화점에 비유하면 여러 백화점...

  • 사파이어잉곳[sapphire ingot]

    LED칩을 만드는 핵심 소재다. 둥근 원기둥 형태의 덩어리로, 이를 얇게 자른 판(웨이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