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HACCP]

식품의 원료관리에서 제조, 가공 및 유통에 이르기 까지 최종 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의 각 단계에서 위해 물질이 해당식품에 혼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생 관리체계를 말한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가 각국에 식품안전성 확보와 식품의 국가간 원활한 무역을 위하여 도입·적용을 권고하고 있고 미국, 캐나다, EU 등 선진국이 자국의 식품안전관리를 위하여 의무적용을 시행하고 있다.

  • 신용협동조합

    조합원끼리 상호유대를 통해 금융편의를 도모하는 비영리금융기관. 단체나지역 등 일정한 공동유...

  • 신용집중위험액

    동일인이나 동일기업집단에 대한 신용이 과도하게 노출됨에 따라 추가적으로 입을 수 있는 손실...

  • 선박평형수[ballast water]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저장하는 바닷물. 일반적으로 유조선이나 화물...

  • 스미스 부인

    =와타나베 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