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HACCP]

식품의 원료관리에서 제조, 가공 및 유통에 이르기 까지 최종 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의 각 단계에서 위해 물질이 해당식품에 혼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생 관리체계를 말한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가 각국에 식품안전성 확보와 식품의 국가간 원활한 무역을 위하여 도입·적용을 권고하고 있고 미국, 캐나다, EU 등 선진국이 자국의 식품안전관리를 위하여 의무적용을 시행하고 있다.

  • 승수이론[theory of multiplier]

    재정지출이 몇 배나 큰 소득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을 승수효과라고 부른다. 케인스는 불황에 ...

  • 스도쿠

    2005년 일본이 유행시킨 숫자퍼즐게임을 말한다. 스도쿠(數獨)는 ''숫자들이 겹치지 말아...

  • 수입부가가치세

    부가가치세는 상품의 거래나 서비스의 제공 과정에서 얻어진 부가가치(이윤)의 10%를 내는 ...

  • 수익증권 관련용어

    · 기준가격 : 고객이 수익증권을 사고팔 때 기준이 되는 가격으로 수익증권의 순가치를 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