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내부지분율

 

전체 발행주식 가운데 소유주와 소유주의 이해관계인들이 보유한 주식비율을 말한다. 동일인지분에 특수관계인(동일인의 친인척과 계열사 임직원)이 보유한 지분, 계열사지분, 자사주·자사주펀드가 포함된다. 내부지분율이 높을수록 외부의 적대적 인수합병(M&A) 세력으로부터 경영권을 방어하는 데 유리하다.

하지만 계열 금융기관 지분이나 자사주 등은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기 때문에 내부지분율이 경영권 방어의 절대적인 척도는 아니다. 내부지분율이 높으면 주식을 외부에 내놓지 않은 만큼 자금조달에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국내 주요그룹들의 내부지분율은 최근 더 높아져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녹다운방식 수출[Knock-down Export]

    부품이나 반제품 형식으로 수출하여 실수요지에서 제품을 완성시키도록 하는 현지조립방식의 수출...

  • 나노 섬유[nano fiber]

    굵기가 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정도의 초극세사로 만든 섬유를 말한다. 필터, 의...

  • 노동교화제

    범죄인으로 취급할 정도는 아닌 위법행위가 있으면 행정 당국이 정식 재판을 거치지 않고서도 ...

  • 넷제로 2050[Net Zero by 2050]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0’인 상태인 "탄소제로" 혹은 "탄소중립"상태로 만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