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내부지분율

 

전체 발행주식 가운데 소유주와 소유주의 이해관계인들이 보유한 주식비율을 말한다. 동일인지분에 특수관계인(동일인의 친인척과 계열사 임직원)이 보유한 지분, 계열사지분, 자사주·자사주펀드가 포함된다. 내부지분율이 높을수록 외부의 적대적 인수합병(M&A) 세력으로부터 경영권을 방어하는 데 유리하다.

하지만 계열 금융기관 지분이나 자사주 등은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기 때문에 내부지분율이 경영권 방어의 절대적인 척도는 아니다. 내부지분율이 높으면 주식을 외부에 내놓지 않은 만큼 자금조달에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국내 주요그룹들의 내부지분율은 최근 더 높아져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남미공동시장[南美共同市場, Mercado Común del Sur, MERCOSUR]

    남아메리카 국가 간의 무역 자유화와 관세동맹을 목표로 결성된 경제공동체. 회원국은 ...

  • 내륙해상보험[inland marine insurance]

    내륙수로상의 손실과 탁송수단으로 자산을 위탁받은 사람에 의한 손실에 대하여 보호하는 보험....

  • 농어촌 공업지원자금

    농어촌지역 경제활성화와 지역간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지방정부가 지정한 농공단지에 입주하여 생...

  • 누구나집

    안정적인 소득원은 있지만 당장 집을 마련할 목돈이 없는 무주택자·청년·신혼부부 등이 집값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