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나프타

[naphtha]

원유를 증류할 때, 섭씨 35∼220도의 끓는점 범위에서 유출(溜出)되는 탄화수소의 혼합체다. 중질(重質) 가솔린이라고도 한다. 원유 100을 정제할 경우 산출되는 나프타 양은 18 정도이며, 나머지는 휘발유, 경유, 벙커C유 등이 된다. 나프타를 분해하면 에틸렌, 프로필렌, 부탄, 벤젠 등이 나오며 이들은 도료용제, 클리닝 용액,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 원료와 제트기 연료 등으로 사용된다.

  • 나프타[naphtha]

    원유를 증류할 때, 섭씨 35∼220도의 끓는점 범위에서 유출(溜出)되는 탄화수소의 혼합체...

  • 녹색신고제도[green card system]

    농수산물 등 수입식품에 대한 검사를 효율적으로 실시,품질의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도...

  • 나노 섬유[nano fiber]

    굵기가 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정도의 초극세사로 만든 섬유를 말한다. 필터, 의...

  • 네거티브 자유화 방식[negative listing]

    시장 개방을 원칙으로 하되 예외적으로 시장 개방을 제한·금지하는 품목만 정하는 협상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