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경제

[New Economy]

미국이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인플레이션없이 1990년대 들어 10년 넘게 누렸던 보기 드문 장기 호황을 누린 현상을 가리킨다. 디지털경제라고도한다. 이 기간동안 미국경제는 성장률과 주가는 높으며, 실업률·물가상승률·금리 등은 낮은 상태를 유지해 이상적인 경제상태를 유지했다. 신경제에 대해, 미국 경제의 장기성장률이 항구적으로 높아진 데 비해 인플레이션 압력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장기성장론에 의한 주장, 미국 경제에 단기적인 경기변동이 사라졌다는 경기변동론에 의한 주장, 네트워크 경제로 인해 수확체감의 법칙에 직면하지 않아 인플레이션이 없는 고성장이 가능해졌다는 주장 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러한 생산성 증가 현상은 과거에도 존재했으며, 미국 노동통계국의 인플레이션 측정방식 변경에 따른 수치상의 왜곡이 있을 수 있고, 1990년대 이래 생산성 증가가 컴퓨터 산업에 국한되었고 또한 1995년이래 미국 제조업 부문의 생산성 증가가 저조했으며, 고용축소를 통해 높아진 노동생산성을 경제 전체의 노동생산성 증가로 과대평가한 것 등을 지적하며 신경제론을 비판하고 있다.

  • 사회서비스원

    돌봄 인력을 국가가 직접 고용하겠다’는 목표로 도입된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 중 하나다. ...

  • 수질개선부담금

    공공의 지하수 자원을 보호하고 먹는 물 수질개선에 기여하기 위하여 먹는 샘물(생수) 제조업...

  •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

    주가지수의 상하 변동폭이 10%를 넘는 상태가 1분간 지속될 때 현물은 물론 선물 옵션의 ...

  • 선박평형수처리장치[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BWTS]

    선박의 평형수(밸러스트수) 이동에 따른 해양생태계 파괴와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 선박 평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