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긴급지원자금

[Supplemental Reserve Facility, SRF]

1997년 12월 외환위기 당시 국제통화기금(IMF)이 통상적으로 지원하는 대기성 차관(SBA)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해 미리 정한 한도를 넘어 긴급히 지원했던 자금을 말한다. 보완준비금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급전인만큼 벌칙금리가 적용되어 금리가 높다.

도입 후 1년간은 SDR금리+3%(6. 8%)를 적용하나 1년 경과 뒤부터는 6개월마다 자동적으로 0. 5%씩 금리가 높아져서 현재는 SDR+4%의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에 비해 대기성 차관은 싼 이자(4. 5%)만 물면 되고 만기도 비교적 길다(3년).

IMF는 외환위기 발생 당시 한국에 총 2백10억달러를 빌려주기로 했는데 이는 사전에 설정된 한국에 대한 자금지원한도의 1천9백%에 달하는 것이었다. 이 중 5백%만이 정상적인 자금지원계획에 따른 대기성 차관이었다.

  • 구동존이[求同存異, seek common ground while preserving differences]

    '공통점을 추구하고 차이점은 그대로 둔다'는 뜻으로, 서로 다른 점은 인정하면서 공동의 이...

  •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선진국과 국제기구가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과 복지 향상을 위해 제공하는 자금 및 물적 지원...

  • 과다노출[over-exposure]

    외채 위기에 즈음하여 1970년대에 비산유개발도상국에 대출한 국제은행들은 그들의 자본금 등...

  • 공적연금

    국가 차원에서 개인의 노후를 준비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만든 연금제도로 국민연금·공무원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