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수출보험

[export insurance]

수출거래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위험가운데에서 해상보험과 같은 통상의 보험으로는 구제하기 곤란한 위험, 즉 수입자의 계약파기, 파산, 대금지급지연 또는 거절 등의 신용 위험(Commercial Risk)과 수입국에서의 전쟁, 내란, 또는 환거래 제한 등의 비상위험(Political Risk)으로 인하여 수출자, 생산자 또는 수출자금을 대출해준 금융기관이 입게 되는 불의의 손실을 보상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수출진흥을 도모하기 위한 비영리 정책보험을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출보험의 운영종목은 10개보험과 1개보증으로 이루어져 있다. 10개의 보험에는 ① 단기수출보험, ② 중장기수출보험, ③ 해외공사보험, ④ 수출보증보험, ⑤ 해외투자보험, ⑥ 농수산물수출보험, ⑦ 시장개척보험, ⑧ 수출신용보증, ⑨ 환변동보험, ⑩ 이자율변동보험이 있다.

관련어

  • 스마트 미터[smart meter]

    전력사용량을 체크해 시간대별로 전력이 필요한 곳과 남는 곳을 알려주는 기기. 원격검...

  • 상대소득가설[relative income hypothesis]

    소비가 현재 소득뿐만 아니라 타인의 소득이나 과거 소득 등 상대 소득에 영향을 받는다는 이...

  • 소득정책[incomes policy]

    총수요를 줄이지 않고도 물가상승을 억제해 보려는 각종 정책을 일반적으로 소득정책이라고 한다...

  • 숙취현상[hangover]

    주가가 시원스럽게 떨어지지 않으면서 조금씩 하락하는 조정장세를 말한다. 정책에 대한 신뢰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