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세이프가드

[safeguards]

특정 물품의 수입이 급증해 수입국의 국내산업이 피해를 입거나 또는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을 경우, 해당 품목의 수입을 임시적으로 제한하거나 관세인상을 통해 수입품에 대해 긴급수입제한 조치를 할 수 있는 제도.

이 경우 수입에 따른 피해의 정도는 심각한 수준이어야 한다. 세이프가드 조치는 GATT 조항(제19조)에도 규정되어 있다.

일부 국가들은 GATT의 범위를 벗어난 양자협상을 통해 상대국이 수출을 ‘자발적으로’ 자제하거나 또는 시장점유율에 대해 합의를 통해 자국산업의 보호를 꾀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자동차, 철강, 반도체 등 여러 산업부문에 걸쳐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다.

한편 외환시장에서 세이프가드는 외환위기가 예상되거나 급격한 외국자본 이탈 현상이 발생할 때 일시적으로 외환거래나 대외송금을 정지시킬 수 있다.

  • 순이자마진[net interest margin, NIM]

    은행 등 금융기관이 자산을 운용해 낸 수익에서 조달비용을 뺀 나머지를 운용자산 총액으로 나...

  • 수당

    기본급이 정상적인 근로조건 하에서의 노동의 대가라면 수당은 기본급에 덧붙여서 근무조건이나 ...

  • 소신호용 반도체

    영상 음향신호 전압 등을 증폭시키는 전자제품의 핵심부품으로 휴대폰 1대에 20~30여개가 ...

  • 신뢰수준[confidence level]

    신뢰 수준 95%는 해당 여론조사를 95% 믿을 수 있다는 뜻이 아니라 같은 조사를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