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분법 회계

[actual value method]

A기업이 관계회사인 B기업의 주식을 갖고 있을 경우 B기업의 이익이나 손실을 A기업의 손익에도 지분율만큼 반영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국내에선 지난 99년 도입됐다. 현행 기업회계기준에는 A기업(투자회사)이 B기업(피투자회사)의 지분 20%이상을 갖고 있을 경우 지분법 회계를 적용하도록 돼 있다. A기업(투자회사)이 B기업(피투자회사)의 지분 20%미만이거나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단순히 투자유가증권 평가손익만 회계장부에 처리하면 된다.

그러나 20%이상이거나 중대한 영향을 미치면 평가손익외에도 B기업의 실적이 지분율만큼 A기업에 반영된다. 지분법을 적용하면 투자회사가 피투자회사의 배당정책을 조정하거나 내부거래를 통해 순이익을 조작할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자기잠식효과[cannibalization effect, cannibalization]

    새로 내놓는 제품이 기존의 자사 주력상품의 고객을 빼앗아 가는 현상을 뜻하는 용어. 동족 ...

  • 자본[capital]

    자본이란 소유주 지분 또는 주주지분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잔여지분이다...

  • 전자금융[electronic banking]

    전자금융이란 은행의 금융서비스 전달 채널을 전자화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은행은 서류와 현금...

  • 재정보전금

    광역지방자치단체(서울특별시는 재정교부금)가 지역 내 재정격차 해소를 위해 기초 지자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