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사이보 금리

[Seoul inter bank offered rate]

국내 금융산업의 중장기 발전방안의 하나로 "사이보 금리"를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사이보(Sibor) 금리는 "Seoul inter bank offered rate"의 머릿글자로 서울 시중은행간 금리를 의미한다. 기존의 런던 시중은행간 금리인 리보(Libor)금리처럼 국제금융시장에서 기준이 되는 금리다.

사이보 금리를 도입하려면 서울 외환시장이 아시아를 대표할 정도의 시장규모와, 중층적인 인프라가 갖춰져야 한다. 현재처럼 하루 거래량이 20억~30억 달러에 불과하고, 그 가운데 시중은행간 거래액이 6억 달러 정도여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이보 금리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울 외환시장의 규모부터 늘리는 작업이 필요하다.

  • 스타트 업[start-up]

    설립한 지 오래되지 않은 신생 벤처기업을 뜻하며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생겨난 용어다. 혁신적...

  • 상표표시제도

    주유소 등 석유판매업자가 그 영업장소에 특정 정유사의 상표 또는 상호를 표시하는 경우 해당...

  • 스왑[swap]

    서로 다른 금리나 통화로 표시된 부채를 교환하는 거래. 동일한 통화이지만 금리가 다른 금리...

  • 시가평가제도

    취득원가(장부가)로 기록돼 있는 채권의 가격을 시가로 평가하는 제도. 펀드에 들어 있는 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