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유동성 트란셰

[Liquidity Tranche]

한국은행은 이번 미국에 대한 테러사건으로 국내 외환시장의 불안감이 감지될 경우 즉각 ''유동성 트란셰''를 활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유동성 트란셰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도입한 것으로서 긴급한 외환소요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외환보유액 가운데 별도로 관리하면서 즉시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을 말한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세계 각국의 긴급한 외환부족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운용하는 긴급보완자금(SRF)과 성격이 비슷하다. 유동성 트란셰는 환금성이 최우선시되는 만큼 현금으로 보관하거나 신용등급이 가장 우수한 국제금융기관에 단기예금으로 예치·운용하는 것이 관례다.

  • 웨어러블 로봇[wearable robot]

    옷처럼 입을 수 있는 로봇 기술을 말한다. 최근 의료공학 분야에서 가장 각광받는 부문 중 ...

  • 여수신제도

    중앙은행이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대출하거나 예금을 받는 것으로 △자금조정 대출 및 예금 △총...

  • 알레르기 비염[allergic rhinitis]

    과도한 면역반응으로 인해 코안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코가 막히거나 맑은 콧물이 ...

  • 연금 모수개혁[Parametric Reform]

    모수개혁(Parametric Reform)은 연금제도의 기본 구조를 유지한 채, 지급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