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유동성 트란셰

[Liquidity Tranche]

한국은행은 이번 미국에 대한 테러사건으로 국내 외환시장의 불안감이 감지될 경우 즉각 ''유동성 트란셰''를 활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유동성 트란셰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도입한 것으로서 긴급한 외환소요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외환보유액 가운데 별도로 관리하면서 즉시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을 말한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세계 각국의 긴급한 외환부족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운용하는 긴급보완자금(SRF)과 성격이 비슷하다. 유동성 트란셰는 환금성이 최우선시되는 만큼 현금으로 보관하거나 신용등급이 가장 우수한 국제금융기관에 단기예금으로 예치·운용하는 것이 관례다.

  • 안락사[euthanasia]

    자연적인 죽음 이전에 생명을 마감시키는 행위를 말하며, 모르핀 투여 등 인위적인 행위에 의...

  • 외국환 중개회사

    외화증권을 제외한 외국환의 매매, 교환, 대여의 중개, 파생금융거래의 중개 또는 이와 관련...

  • 연속상환채권[serial bond]

    보통 자치제에서 발행이 종료될 때까지 규칙적인 간격으로 각기 다른 만기의 사채를 발행하는 ...

  • 아시아 펀드패스포트[Asia Regional Fund Passport]

    아시아지역에서 여권(Passport)처럼 회원국 공통의 표준화된 펀드 등록 절차를 도입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