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축효과

[crowding-out effect]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재정지출을 늘린다 하더라도 그만큼 민간소비가 줄어들어 경기에는 아무런 효과를 가져오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가 부족한 재정을 확충하기 위해 국채발행을 늘리면 금리가 상승해 민간투자가 위축되어 총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구축효과는 금리를 내리더라도 효과가 없는 통화정책상의 유동성 함정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구축효과와 유동성 함정이 나타나는 것은 경제주체들이 경제 앞날에 대해 불확실하게 생각해 정책당국의 의도대로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정책당국이 재정지출을 늘리고 금리를 내리더라도 의도한 경기부양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경제주체들이 우려하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해주는 노력이 뒤따라야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 공공기획

    서울시내에서의 재개발 사업시 사전 타당성 조사부터 정비계획 수립 단계까지 서울시가 주도해 ...

  • 국제상품가격지수[international index of commodity prices]

    세계 4대 통신사 중의 하나인 로이터(Reuters)가 작성하는 1차산품의 국제가격에 대한...

  • 기준가격

    투자금액의 운용 결과 얻어지는 총자산에서 비용을 공제한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을 설정 좌수로 ...

  • 금융자산[financial assets]

    금융거래에는 대차관계가 발생하게 되는데 금융자산이란 이때의 금융적 청구권을 말하며 금융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