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역소득 효과

[negative income effect]

역소득효과란 고용사정이 악화되면 소득감소로 경기가 더 침체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주가하락에 따른 역자산 효과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경기지표를 선행 동행 후행으로 구분할 때 고용통계는 대표적인 후행지표다. 따라서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일정기간은 실업률이 여전히 높아 역소득효과가 나타난다.

  • 의무공개매수제도

    상장회사의 지배권을 확보할 정도의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 주식의 일정 비율 이상을 공개매수...

  • 유동성 트란셰[Liquidity Tranche]

    한국은행은 이번 미국에 대한 테러사건으로 국내 외환시장의 불안감이 감지될 경우 즉각 ''유...

  • 인증중고차

    완성차 업체가 중고차를 매입한 뒤 진단·정비를 거쳐 판매하는 차량이다. 완성차 업체가...

  • 온실가스 농도[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이산화탄소(CO2), 메탄(CH 4), 이산화질소(NO2), 육불화황(SF6 )의 연평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