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소득 효과
[negative income effect]역소득효과란 고용사정이 악화되면 소득감소로 경기가 더 침체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주가하락에 따른 역자산 효과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경기지표를 선행 동행 후행으로 구분할 때 고용통계는 대표적인 후행지표다. 따라서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일정기간은 실업률이 여전히 높아 역소득효과가 나타난다.
-
양떼 효과[herding effect]
무리에서 혼자 뒤쳐지거나 동떨어지는 것을 싫어해서 따라하는 현상. 특정브랜드의 옷이나 전자...
-
왑 게이트웨이[WAP Gateway]
유선 인터넷 용 HTML(인터넷 언어)을 휴대폰 무선인터넷 용 WML(무선 방식 언어)으로...
-
임의적 소득[discretionary income]
세금지급뿐 아니라 식품, 의복, 주거와 같은 물리적 필수품의 구입 후에 남아 있는 소비가능...
-
유럽경제위원회[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 UNECE]
1947년 창설된 유럽의 경제 위원회로 UN의 다섯 개 지역 위원회 중 하나이다.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