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운드리
[foundry]파운드리는 반도체 설계 전문회사인 팹리스로부터 설계도면을 받아 도면대로 웨이퍼를 가공해 반도체 칩을 생산하는 전문 제조업체다. 자체 설계 능력 없이 생산에만 집중하는 구조라 ‘수탁가공업체’라고도 부른다.
반도체 산업은 설계만 하는 팹리스(Fabless), 생산만 하는 파운드리(Foundry), 설계부터 생산·판매까지 모두 하는 종합반도체업체(IDM)로 나뉜다. 과거에는 IDM 중심이었지만 반도체 종류가 다양해지고 제조 비용이 높아지면서 팹리스와 파운드리로 분업이 빠르게 진행됐다. 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확산으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며 파운드리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대만 TSMC가 2024년 4분기 기준 약 67.1%의 점유율로 절대 강자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21년 15%대에서 2024년 8.1%까지 하락했지만 2위를 지키고 있다. 중국 SMIC(5.5%), 대만 UMC(4.7%), 미국 글로벌파운드리(4.6%)가 뒤를 잇는다. 삼성전자는 최근 테슬라와 22조7천억 원 규모의 파운드리 계약, 애플 차세대 이미지센서 공급 계약을 잇달아 체결하며 반등을 노리고 있다. 2나노 공정과 미국 텍사스 공장 생산을 통해 리쇼어링 수요에 대응 중이다.
현재 파운드리는 단순한 칩 생산업체를 넘어 전략자산으로 평가된다. 첨단 무기체계, 자율주행 군용차, 우주·항공 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미국, 유럽, 한국, 중국 등 주요국이 자국 내 파운드리 생산능력 확보 경쟁에 나서면서 기술 주도권과 안보를 좌우하는 핵심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관련기사
-
삼성전자, 파운드리 시장 놓고 TSMC와 치열한 경쟁
삼성전자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에서 맹주인 대만 TSMC와의 전면전에 나선다. 그동안 10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대 첨단 공정에서 애플 퀄컴 등 일부 우량고객을 놓고 다퉜지만 앞으로는 65~180㎚에 이르는 대부분의 중저가 제품에서 고객 쟁탈전을 벌일 전망이다. 커지는 파운드리 시장을 잡으려는 삼성전자가 중저가 제품까지 생산해주기로 하고 고객 확보에 나서고 있어서다. 삼성전자는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팹리스(생산라인이 없는 반도체 설계회사)를 상대로 비공개 파운드리포럼을 열고 이같이 밝힌 것으로 23일 전해졌다. 지금처럼 첨단 공정에서만 경쟁력을 갖춰선 안정적인 이익을 낼 수 없다고 판단해서다. 삼성은 2007년 애플의 아이폰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생산하며 실력을 쌓아왔지만 2014년 이후 많은 물량을 대만 TSMC에 빼앗겼다. 특히 애플 물량을 되찾기 위해 막대한 투자로 14㎚, 10㎚ 공정을 개발했지만 애플은 올 9월 나올 아이폰7용 AP를 TSMC에 전량 발주한 상태다. 삼성그룹은 지난 4월 끝난 경영진단을 통해 파운드리에서 TSMC와 같은 사업구조를 짜야 한다고 결론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TSMC는 첨단라인뿐 아니라 감가상각이 끝난 40~180㎚대의 구식 라인에서도 많은 제품을 생산해 이익을 남기는 구조다. 영업이익률이 매년 35%를 넘는다. 또 앞선 패키징(생산이 끝난 칩을 기기에 탑재할 수 있게 가공하는 것) 기술까지 개발, 원스톱으로 서비스한다. 삼성은 1990년대 메모리를 생산하던 5라인을 파운드리용으로 쓰기로 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구세대 라인 등을 활용해 고객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려 패키징 기술 개발에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파운드리 시장이 계속 커지고 있어서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2015년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3%가량 감소했지만 파운드리 시장 규모는 4.4% 성장했다. ■ 파운드리 반도체산업에서 설계 기술만 보유한 곳을 팹리스, 생산라인(팹)을 갖추고 팹리스 주문을 받아 생산해주는 업체를 파운드리라고 한다. 팹리스는 큰 투자가 필요한 라인을 깔지 않아도 되고, 파운드리는 팹리스의 수요를 모아 ‘규모의 경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2016-06-24
-
피터 나바로[Peter Navarro]
미국 UC어바인의 공공정책 및 경제학 교수. 1949년 7월 15일생으로 캘리포니아에 거주...
-
펫코노미[petconomy]
반려동물과 관련한 시장 또는 산업을 일컫는 신조어로 반려동물을 뜻하는 영단어 펫(Pet)과...
-
폰 노이만 병목[von Neumann Bottleneck]
프로세서(CPU)와 HDD나 SSD같은 메모리간에 주고받는 데이터 양이 폭증하면서 둘 사이...
-
판데노믹스[Pandenomics]
인터넷 메신저·스마트폰·트위터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염병(pandemic)처럼 번지는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