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자산건전성분류기준

[新資産健全性分類基準, Forward Looking Criteria, FLC]

미래의 빚상환능력을 반영한 자산건전성분류기준.

금융회사의 부실여신 발생을 사전에 억제하기 위해 1999년 하반기부터 도입됐다.

원리금 상환을 몇개월 연체했느냐에 따라 자산을 분류하던 종전의 기준과는 다르다.

대출기업의 과거 금융거래와 영업실적, 현재 재무상태는 물론 미래 사업가치, 채무상환능력까지 따져 자산을 분류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현재 빚이 많더라도 이후 사업전망이 좋은 기업에 빌려준 대출금은 높은 건전성 등급을 받게되는 식이다.

반대로 사업성이 불투명한 기업은 낮은 등급이 매겨진다. 통상 10개 정도의 등급으로 분류된다. 1등급부터 6등급까지는 정상기업에 속한다.

  • 산업재해예방기금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하여 양도, 대여,설치 또는 사용 등이 제...

  • 세계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GVC]

    ‘기업 간 무역(inter firm trade)’과 ‘기업 내 무역(intra firm t...

  • 시장실패[market failure]

    시장이 자유롭게 기능하도록 맡겨둘 때 효율적인 자원 배분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 삼바채권

    브라질 국공채를 뜻한다. 2011년 현재년 10년만기 브라질 국채의 표면금리는 연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