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복합기업

[conglomerates]

다른 산업이나 업종의 기업을 인수·합병하여 서로 다른 시장에 속하는 여러가지 재화 또는 용역을 생산하는 기업 또는 기업군을 말한다. 기업군의 의미에서는 기업집단(재벌)과 유사한 개념이다. 복합기업은 그 사업분야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단일제품기업 집합에 비해 위험성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때문에 복합기업의 장래 기대수익은 단일제품 기업에 비해 위험성이 낮은 만큼 높다. 또한 내부금융을 조달함에 있어서도 복합기업은 내부의 수익성 좋은 사업분야로 자금을 집중시켜 유망한 사업 분야에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복합기업은 일정규모를 넘어서면 각종의 조직 비효율이 발생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기업성장의 억제요인으로 작용한다.

영국의 경제주간지 Economist는 2013년 주목해야 할 경영 트렌드로 1980년대 이후 비효율적인 경영형태로 지탄받았던 복합기업의 부활을 꼽았다. 복합기업이 각광받는 핵심 이유는 신흥시장과 개발도상국 기업들의 성공에 있다. 컨설팅부터 철강 생산까지 하는 인도의 타타그룹과 한국의 삼성이 좋은 예로 꼽혔다. 미국 500대 기업의 현금 보유액이 1조달러에 이르는 등 풍부한 자금을 가진 선진국 기업들도 이를 바탕으로 복합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 분리공시제

    통신사가 이용자에게 지급한 휴대폰 보조금을 공시할 때 보조금에 포함된 휴대폰 제조사의 판매...

  • 바이오 여권[bio passport]

    위조나 변조를 막기 위해 지문이나 홍채 등의 신체 정보를 담은 여권

  • 변동성[volatility]

    움직이는(변동하는) 성질을 뜻하는 용어로, 주식시장 등 자산시장에서는 상품의 가격이 변동하...

  • 분별의 이익

    보통의 공동보증에 있어서 각 보증인이 채무에 대하여 보증인의 수에 따라 균등비율로 분할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