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역외적용

 

외국인 또는 자국의 영역 밖에서 행해지는 행위에 대하여 자국의 법률을 적용하는 것을 역외적용이라고 한다. 법률은 본래 자국인이나 자국의 영역내에서 발생하는 행위에 대해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기업활동이 국제화하면서 자국 영역밖의 반경쟁적 행위가 자국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이러한 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역외적용 문제가 대두됐다.

역외적용을 적용하는 태도는 자국내에서 행해지는 행위에 대해 적용하는 속지주의와 자국의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에 적용하는 효과주의로 나뉘어진다. 영국등은 속지주의를, 미국·독일등은 효과주의를 택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우리나라의 기업활동에 대해서 역외주의 적용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양국간 마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인공 광합성

    광촉매, 태양전지 등을 활용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하...

  • 아세안경제공동체[ASEAN Economic Community, AEC]

    싱가포르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미얀마 인도네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브루나이 등 동남...

  • 양자중첩성[quantum superposition]

    서로 멀리 떨어진 두 입자가 존재적으로 연결돼 있어 한 입자의 상태가 확정되는 즉시 다른 ...

  • 워블링 장세[wobbling market]

    정책과 경기, 그리고 시장 흐름이 바뀌는 변곡점에 놓여 있을 때 그때 그때 발생하는 호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