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장세
[liquidity-driven market]산업이나 기업의 기조 변화에 기인하기보다는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 대거 참여하면서 풍부해진 자금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주가가 강한 상승세를 보이는 장세를 말한다. 이런 경우 대개는 경기회복 초기단계에서 기업들의 투자활성화를 위해 금리를 인하하면 시중의 유동성이 증가하게 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설비증설투자가 막 시작돼 자금수요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금리인하로 늘어난 시중 유동성 중 일부가 주식시장으로 유입되기 마련이고 이 과정에서 주가가 크게 올라가는 것을 금융장세라고 한다.
흔히 금융장세 다음에는 실적장세, 역금융장세, 역실적장세 등이 차례로 온다고 알려져 있다. 실적장세는 금리는 낮은 상태에서 실적이 좋아 주가가 오르는 장세다. 역금융장세는 실적이 좋아진 기업들의 본격적인 투자로 금리가 올라감에 따라 주가가 내림세를 보이는 장세이고, 역실적장세는 투자가 완화되면서 금리는 내리지만 실적이 점차 나빠져 주가도 약세인 장세다.
-
구제불능 실업인[hard core unemployed]
결코 전시간제 직업을 가져보지 못했거나 오랜 기간 동안 일을 찾을 수 없었던 사람. 구제불...
-
공급과 수요의 탄력성[elasticity of supply and demand]
공급의 탄력성은 가격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반응도를 말한다. 공급량의 변화율을 가격변화율로 ...
-
고급주택
택지면적이 4백95㎡를 초과하고 건축연면적이 2백64㎡를 넘는 주택. 그러나 66㎡ 이상의...
-
기부형 크라우드펀딩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다수의 사람이 소액을 모아 기부하는 형태다. 2011년부터 와디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