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금융장세

[liquidity-driven market]

산업이나 기업의 기조 변화에 기인하기보다는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 대거 참여하면서 풍부해진 자금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주가가 강한 상승세를 보이는 장세를 말한다. 이런 경우 대개는 경기회복 초기단계에서 기업들의 투자활성화를 위해 금리를 인하하면 시중의 유동성이 증가하게 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설비증설투자가 막 시작돼 자금수요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금리인하로 늘어난 시중 유동성 중 일부가 주식시장으로 유입되기 마련이고 이 과정에서 주가가 크게 올라가는 것을 금융장세라고 한다.

흔히 금융장세 다음에는 실적장세, 역금융장세, 역실적장세 등이 차례로 온다고 알려져 있다. 실적장세는 금리는 낮은 상태에서 실적이 좋아 주가가 오르는 장세다. 역금융장세는 실적이 좋아진 기업들의 본격적인 투자로 금리가 올라감에 따라 주가가 내림세를 보이는 장세이고, 역실적장세는 투자가 완화되면서 금리는 내리지만 실적이 점차 나빠져 주가도 약세인 장세다.

  • 그루밍족[grooming]

    마부(groom)가 말을 빗질하고 목욕을 시키는 데서 유래한 신조어로서 패션과 미용에 아낌...

  • 기업도시

    민간 기업이 토지수용권 등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개발한 특정 산업 중심의 자급자족형 복합 기...

  • 감성공학[sensibility ergonomics]

    감성공학은 인간이 다양한 제품이나 주변 환경을 접할 때 감각기관을 통해 받아들이는 감각 및...

  • 그랜드슬램[Grand slam]

    골프나 테니스에서 4대 메이저대회를 모두 석권하는것을 말한다. 골프 경기에서 4대메이저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