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금외신탁

 

금전신탁 이외의 금전의 신탁’이 정식 명칭. 고객이 은행에 돈을 맡기면서 회사채를 비롯한 채권이나 주식, 어음, 대출 등 운용수단을 지정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은행의 금전신탁은 모두 만기가 최소 1년 또는 1년 6개월 이상으로 되어 있으나 금외신탁은 만기가 지정돼 있지 않은 것이 특징으로, 고객이 수탁할 때 언제 찾아가겠다고 통보하면 은행은 그 기간에 지정된 운용수단으로 운용하고 만기가 되면 현물 또는 현금 어느 쪽이든 선택해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중도해지 수수료라는 것이 없고 만약 고객이 은행에 통보한 기간 이전에 찾고자 할 경우 은행은 현물을 그대로 내주든가 고객의 손해 여부에 상관없이 현금화해서 돌려준다.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NTIS]

    사업,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

  • 그린 IT[Green IT]

    지구 환경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친환경적인 성격을 갖는 IT 기기나 IT 기술을 뜻한다. 초...

  • 광고[advertising]

    산업·기업·비영리 조직 또는 개인에 의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통신되는 유료의 불특정 다수를...

  • 그로스해킹[growth hacking]

    고객의 취향을 파악하고, 더 효과적으로 고객에게 접근해 저비용으로 최고의 광고 효용을 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