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토종합계획

 

국토종합계획은 국토개발과 보전에 관한 종합적·장기적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국가의 최상위 국토계획이다. 헌법 제121조 제2항과 1963년에 제정된 국토건설종합계획법에 따라 수립된다. 여기에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할 국토정책과 지역·도시계획, 간접자본(SOC)투자에 대한 기본지침이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1972년 이전에는 경제개발 5개년계획과 함께 수립되었다. 이것이 1972년부터 5년짜리 경제개발계획과 별도의 10년 짜리 국토종합개발계획으로 분리되었다.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은 1981년까지로 잡혔고 경부축 중심의 거점개발로 구체화했다. 제2차와 제3차 계획은 각각 1982∼1991년과 1992∼2001년을 대상으로 세워졌다. 하지만 경제개발계획의 필요성이 줄어들면서 유명무실해졌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제4차 계획에서는 명칭에서 ‘개발’이라는 말을 빼 ‘국토종합계획’으로 바꾸었다. 환경친화성을 살리려는 의지를 담은 셈이다. 대상기간도 2000년부터 2020년까지 20년으로 늘려 장기종합계획으로 삼도록 했다.

  • 공적대외준비자산[gross official reserve]

    한 나라의 통화당국이 대외지불준비자산으로 보유하는 금, 교환가능한 외환, SDR IMF r...

  • 걸프만[Persian Gulf, Arabian Gulf]

    걸프만은 중동 지역의 내해로, 이란과 아라비아반도 사이에 자리한 해역이다. 호르무즈 해협을...

  • 국제학업성취도평가[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회원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과 공동으로 실시하는 학업성취도 비교...

  • 광섬유[optical fiber]

    광섬유는 빛을 전송하기 위해 특수 제작된, 유리로 만들어진 가는 선으로서 석영유리를 기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