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광역도시계획

 

대도시와 주변의 여러 도시가 하나의 광역도시권으로 형성된 경우에 도시별로 별도의 도시계획을 수립하기보다는 광역도시권 전체를 대상으로 도시계획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개별도시 단위로 세우는 20년 단위의 도시기본계획과 성격은 같지만 광역도시권 내에 있는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함께 계획을 세운다. 주요 내용은 인구, 공간구조, 녹지관리체계, 환경보전계획, 광역기반시설 배치 등의 계획이 포함된다. 건설교통부장관과 광역도시권 안에 속한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 공동으로 수립하고 있다.

  • 감압증류시설[Vacuum Distillation Unit, VDU]

    끓는 온도가 높아 상압에서 증류하기 힘든 물질을 진공펌프를 이용해서 감압해 증류하는 방식.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IPCC는 88년 기후변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

  • 기본소득제[basic income guarantee]

    기본소득은 소득, 자산, 직업 유무 등과 관계없이 모든 국민에게 조건 없이 정기적으로 동일...

  • 국가하천

    하천은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으로 구분하는데, 이 중 국가하천은 국토보전상 또는 국민경제상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