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의 종류
관세는 분류의 관점 또는 기준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구분된다. 과세기회에 따라 구분하면 일정 관세 영역 안으로 이동할 때 부과하는 수입세, 관세영역 밖으로 이동할 때 부과하는 수출세, 그리고 관세 영역을 지날 때 부과하는 통과세가 있다. 부과하는 목적에 따라 관세를 구분해보면 국고수입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재정관세와 국내유치산업의 보호 또는 기존 산업에 대한 안정적 국내시장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보호관세가 있다.
또한 관세는 부과되는 근거에 따라 국정관세와 협정관세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국정관세는 일국이 자국의 법령에 의해 자율적으로 부과하는 관세로서 기본관세 또는 일반관세라고도 한다. 협정관세(conventional duty)는 외국과의 통상조약 또는 관세조약에 의하여 책정된 세율로 부과하는 관세로 통상 국정관세보다 저율이다.
-
계약철회 청구제도
보험가입자가 청약일로부터 15일 이내에 그 계약을 철회할 수 있는 제도.보험사는 철회청구서...
-
경기후행지수[lagging composite index, LCI]
경기의 변동을 사후에 확인해 주는 지수. 생산자제품재고지수, 소비자물가지수 변화율(...
-
국제안전인증규격[Occupational Health & Safety Management System 18001, OHSAS 18001]
영국표준협회가 중심이 돼 제정한 조직의 보건과 안전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 표준. 조직이 자...
-
공시[disclosure]
공시는 사업내용이나 재무상황, 영업실적 등 기업의 내용을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에게 알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