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회계감사감리

 

외부감사인(회계법인)이 기업의 회계감사를 올바르게 했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결산기 때마다 회계법인은 해당 기업이 기업회계기준에 맞게 결산보고서(재무제표)를 작성했는지 회계감사를 실시한다. 이 회계감사에 대해 한국공인회계사회와 증권감독원은 회계감사감리를 실시하게 된다. 한국공인회계사회는 증권거래소에 상장돼 있지 않은 비상장회사 회계감사를 담당한 회계법인의 감사보고서를, 증권감독원은 상장을 준비중인 기업(기업공개 예정기업)이나 이미 상장돼 있는 기업의 회계감사를 맡은 회계법인의 감사보고서를 감리한다.

회계감사감리는 분식결산의 의혹이 가는 기업회계감사보고서를 위주로 연중 수시로 실시한다. 동종업계에 비해 부채비율 또는 재고자산비율이 높거나 매출대비 현금흐름비율이 낮은 기업의 회계감사보고서는 우선감리대상이다. 부실회계감사로 적발되면 회계법인이나 담당 회계사에게는 등록취소, 업무정지, 형사고발, 각서징구 등의 조치가 내려진다.

  • 휘도[brightness]

    밝기, 또는 휘도는 통상 칸델라(cd/㎡, candela)로 표시한다. 밝기가 높을 경우 ...

  • 헌법소원

    헌법정신에 위배되는 법률로 인해 기본권의 침해를 받은 사람이 직접 헌법재판소에 구제를 청구...

  • 허수성 매매주문

    체결 가능성이 낮은 가격에 대량으로 주문을 제출하거나, 직전가격 또는 최우선 호가의 가격이...

  • 환경비용부담법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각종 시설물과 경유 사용 자동차에 대해 오염유발 정도에 따라 환경개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