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친화적 차종
자연을 먼저 생각하는 자동차란 뜻으로 국내에서는 1995년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환촉진에 관한 법률제정이 추진되며 쓰이기 시작했다. 리사이클링, 저공해, 고연비, 저소음, 저진동 등 모든 환경 부문을 만족시키기 위해 연구개발되는 차를 환경친화적 차종이라고 부른다. 이 부문의 대표 차종으로는 전기차, 태양광차, 액화천연가스차, 하이브리드차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기존 휘발유와 디젤을 연료로 하는 차량들도 일부 환경친화적 차종으로 연구되고 있다.
휘발유차는 연료직접분사방식이 실용화 단계에 들어갔으며 디젤 부분은 매연저감장치와 유해물질 저감촉매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자동차의 환경친화론은 1980년 후반부터 미국에서 거론돼 1993년 일본 제30회 도쿄 모터쇼에서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당시 일본은 인간·지구·자동차란 주제로 환경개선이란 이미지의 에콜루션(ecolution)이란 용어를 만들어냈다. 이는 환경(에콜로지)과 진화(이볼루션)의 합성어다.
-
회사채 신속인수제
일시에 대규모로 만기가 도래한 회사채를 상환하기 위해 기업들이 사모 방식으로 또 다른 회사...
-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조직이나 프로젝트의 성과를 평가하고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를 나타낸다. K...
-
한-아프리카 핵심광물대화[Core Mineral Dialogue, CMD]
한국과 아프리카 48개국 간의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과 협력을 위한 대화체. 2024년...
-
희유금속[稀有金屬, rare metal]
철이나 구리 등의 일반 금속과 달리 매장량이 적고 한 곳에 집중돼 있으며 추출이 어려운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