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홀로그램

[hologram]

그리스어로 완전하다는 뜻의 ‘홀로(holo)’와 그림을 의미하는 ‘그램(gram)’의 합성어로 레이저 광선으로 2차원(2D) 평면에 3차원(3D) 입체를 묘사하는 기술을 말한다.

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것은 빛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빛에는 고유한 특성이 몇 가지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빛의 간섭성이다. 두 가지 이상의 빛이 동시에 만나면 서로 간섭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면 입체상을 만들 수 있다. 레이저광은 간섭성이 좋으므로 두 개의 레이저광을 감광재료에 비추어 물체로부터 나오는 반사광 또는 투사광을 본래의 레이저광과 간섭시켜 그 간섭무늬를 기록한다. 이렇게 상호 작용하는 여러 개의 레이저 광선을 얇은 공기층에 쏘아서 만든 3차원 형상(입체상)을 홀로그램이라 한다.

  •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펀드[Korea Corporate Governance Fund, KCGF]

    지배구조가 모범적인 우량 기업에 투자하는 ''사회책임투자(SRIㆍSocial Respons...

  • 해비타트[Habitat]

    무주택 서민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의 변호사인 밀러드와 그의 부인 풀러가 197...

  • 흑자예산[surplus budget]

    일정 연도의 예산 가운데서 지출을 줄임으로써 재정을 긴축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경기...

  • 허용임차권[tenancy at sufferance]

    법적 임차인이었던 사람이 임차계약만료 후 자산을 불법으로 소유하고 있을 때 설정되는 임차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