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헤징

[hedging]

현물가격의 등락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손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선물시장에서 현물과 반대되는 선물 포지션을 설정하는 것이다. 헤징을 하면 상품(주가·환율·금리·금)의 가격이 오르거나 내리더라도 현물·선물의 동시거래를 통해 정반대의 손익이 나타나 어느 한쪽의 손익이 다른 쪽의 이익으로 서로 상쇄된다. 이로써 가격변동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헤징은 매입헤지(long hedge)와 매도헤지(short hedge)로 구분된다. 매입헤지는 가격상승 위험을 없애기 위해 선물을 매입하여 가격변동 위험을 줄이는 것이며, 매도헤지는 정반대로 가격하락 위험을 피하기 위해 선물을 매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기업이 특정일에 자사 제품을 수출했고 이로부터 3개월 후에 5만달러를 받기로 했다면 3개월 후의 달러선물을 택해 5만달러를 원화로 파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같은 형태를 매도헤지라 한다.

  • 한미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special measures agreement, SMA]

    미군의 한국 주둔비용 일부 또는 전부를 한국 정부가 분담하도록 규정한 한·미 양국 간 협정...

  • 환어음[bill of exchange, B/E]

    어음발행인이 지급인에게 어음의 지시인이나 소지인에게 무조건 지급을 위탁하는 유가증권. 환어...

  • 화학적 기계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웨이퍼를 연마패드(Pad)의 표면 위에 접촉하도록 한 상태에서 슬러리를 공급하여 웨이퍼 표...

  • 휴면 환급

    납세자가 세금을 실제보다 많이 냈거나 중가예납액보다 실제 세액이 적을 경우 정산한 이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