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해외부문통화공급

 

해외 부문을 통한 통화공급은 대외거래의 결과인 국제수지 상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해외 부문을 통한 통화는 국제수지가 흑자일 경우 늘어나고 적자일 경우에는 줄어들게 된다. 수출이 증가하거나 관광수입 등 무역외수입이 늘어나든지 각종 차관 등 외자도입으로 외화의 유입량이 늘어나면 국내에서는 외화를 직접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은행에서 원화로 바꾸어야 하며 이때 그만큼 통화가 시중에 풀려나가게 된다. 반대로 수입이 늘어나거나 외국에 대한 외채상환 등으로 외화를 해외에 지급할 경우 원화가 은행창구를 통해 환수되고 통화량은 줄어든다.

  •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Trans-Pacific Partnership Agreement, TPP]

    일본 호주 캐나다 등 11개 아시아·태평양 국가가 2018년 3월 8일 칠레에서 결성한 다...

  • 흑자율[Surplus rate]

    가처분소득(소득-비소비지출) 중에서 흑자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 하이퍼 인플레이션[hyper inflation]

    물가상승이 통제를 벗어난 상태로 수백퍼센트의 인플레이션율을 기록하는 상황을 말한다. 하이퍼...

  • 혁신 신약[first-in-class]

    기존에 치료제가 없는 질병을 고치는 신약. 특정 질환에 대한 약의 효능이 기존에 나온 여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