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국산업은행

[Korea Development Bank]

1954년 전후복구를 위한 중요 산업자금 공급기관으로 정부가 자본금 전액을 출자하고 일제 때부터 있어온 한국식산은행의 자산과 부채를 승계하여 설립되었다. 1950년대 자본시장이 미성숙한 상태에서 산업발전을 위한 개발금융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다. 1960년대에는 각종 특수 은행의 설립 등 특수 금융체제가 확립되면서 수산, 주택 및 중소기업금융 등을 관련기관에 물려주고 중요 산업 부문의 개발에 필요한 중장기자금의 공급에 주력하였다.

그후 1970년대에는 뱅크론의 도입과 외화산업금융채권의 발행 등으로 외화자금을 조달하는 동시에 국민투자기금으로부터의 차입 및 원화산업금융채의 발행으로 거액의 원화자금을 조성하여 이를 설비자금으로 공급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서 중화학공업의 투자조정 등 산업구조조정이 진행됨에 따라 정책적 개발자금지원을 상대적으로 줄이는 대신 구조조정 기술개발 등에 대한 지원을 크게 늘리며 1980년대 말부터는 신탁업무, 증권업무, 해외 현지법인의 확충 등으로 업무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 한국은행[Bank of Korea]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한국은행법에 의해 설립되었다. 한국은행의 ...

  • 훼손부담금

    그린벨트 훼손을 억제하고 그린벨트 주민 지원사업 등 관리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

  • 하도급 법

    기술유용 행위뿐 아니라 하도급 대금의 부당 단가인하, 부당 발주취소, 부당 반품행위 등에 ...

  • 하부르타[chavruta]

    하브루타는 나이, 계급, 성별에 관계없이 두 명이 짝을 지어 서로 논쟁을 통해 진리를 찾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