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세특례제도
일정 기준 이하의 영세 개인사업자들이 더욱더 간편하게 부가가치세를 내도록 하는 제도.
연간 매출액 4천8백만원(대리중개, 주선, 위탁매매, 도급은 1천2백만원) 미만 사업자가 과세특례자가 된다. 일반과세자는 3개월마다 부가세예정신고를 하고 의무적으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하고, 또 불성실 신고 혐의가 드러나면 즉시 세무조사를 받게 되지만 과세특례자로 분류될 경우 세무서가 예정고지한 세금을 6개월마다 내면 모든 세무 절차가 끝난다. 적용 세율도 일반(10%)보다 낮은 2%(대리중개 등은 3.5%)에 불과하며 각종 세정지원을 받게 된다. 과세특례제도는 2000년 7월 1일부터 폐지될 예정이다.
-
구매가격 할인[purchase price discount]
일반적인 매입할인과는 별도로 계약기간 중 임의로 일정기간(보통 1개월)을 정하여 그 기간동...
-
공개입찰[open bid]
원자재 및 공사의 가격제시에 의한 계약의사 표시를 말한다. 동일 공사에 대한 가격인하 효과...
-
글로벌 안정 메커니즘[Global Stability Mechanism, GSM]
글로벌 안정 메커니즘은 국제적 금융위기에 따른 동시다발적 시스템 위험(risk)에 대비하는...
-
국제정보디스플레이 학술대회 및 전시회[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
우리나라에서 개최하는 디스플레이 학술 및 전시회. 일본 FPD(Flat Panel Di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