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핌피 현상

[PIMFY syndrome]

‘Please in my front yard’의 이니셜을 딴 것이다. 핌피 현상이란 수익성 있는 사업을 내 지방에 유치하겠다는 것으로 지역이기주의의 일종이다. 핵시설이나 쓰레기 매립장 등 혐오시설은 절대로 내고장에 둘 수 없다는 이른바 님비 현상(notin my back yard : NIM BY)과는 정반대 개념이지만 지역이기주의란 점에서는 똑같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방자치시대가 열리면서 핌피 현상이 고개를 들고 있다. 호남고속철도의 노선을 놓고 대전시와 충남도가 대립한 것이나 얼마전 삼성 승용차 공장의 유치를 기대하던 대구 시민들이 부산 신호공단으로 후보지가 결정됐다고 알려지자 삼성제품 불매운동을 벌인 것 등을 일종의 핌피 현상으로 볼 수 있다.

  • 프리 패키지 플랜[prepackaged plan, P Plan]

    정부가 기업 구조조정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016년 8월에 도입할 단기법정관리제...

  • 프랙탈[fractal]

    부분이 전체를 닮는 자기 유사성의 특징을 일컫는 용어. 일정 기간의 날씨 패턴은 긴 주기의...

  • 필라델피아 제조업지수[Philadelphia Fed Survey, The Philadelphia Federal Reserve''s Business Outlook Survey]

    필라델피아 연방은행의 관할지역인 펜실베니아, 뉴저지, 델웨어 등 3개주에 있는 제조산업의 ...

  • 포괄적 주식교환

    비상장기업 주주들이 상장기업에 지분을 모두 넘겨주고 그 대가로 상장기업의 신주를 받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