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포괄임금제

[Inclusive Wage System]

기본급에 시간외근로 수당을 미리 포함해 일괄 지급하는 근로계약 방식이다.
근로시간 산정이 어려운 업무의 경우 연장·야간·휴일 근무 수당 등을 사전에 정해 급여에 포함시킨다.

포괄임금제는 연장근로수당 등 시간외수당을 별도 산정하지 않고 기본급에 포함해 지급함으로써 급여 계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제도다.
1992년 대법원 판례에서 처음 개념이 정립되었으며, 이후 유사 판례들이 제도의 법적 근거를 강화해 왔다.
그러나 실제 근무시간보다 적은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위험이 있어, 남용 시 위법 판결이 내려지기도 한다.

특히 연차수당은 근로기준법상 휴식을 보장하는 취지에 따라 포괄임금과는 별도로 지급해야 한다.

  • 폭락지수[Crash Confidence Index, CCI]

    CCI는 기관 및 개인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향후 6개월 내 시장이 폭락할 가능성을 0~10...

  • 핑크 BBS

    핑크 BBS는 누드 사진 등을 전문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해 회원제로 사용자들에게 공급하는 P...

  •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자동차와 전기·전자 제품, 의료기기와 기계류 등에서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플라...

  • 프로젝트 파이낸싱 기업유동화어음[PF ABCP]

    부동산개발사업에 필요한 자금조달을 위해 시행사가 약정한 대출 채권을 특수목적회사(SPC)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