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포괄임금제

[Inclusive Wage System]

기본급에 시간외근로 수당을 미리 포함해 일괄 지급하는 근로계약 방식이다.
근로시간 산정이 어려운 업무의 경우 연장·야간·휴일 근무 수당 등을 사전에 정해 급여에 포함시킨다.

포괄임금제는 연장근로수당 등 시간외수당을 별도 산정하지 않고 기본급에 포함해 지급함으로써 급여 계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제도다.
1992년 대법원 판례에서 처음 개념이 정립되었으며, 이후 유사 판례들이 제도의 법적 근거를 강화해 왔다.
그러나 실제 근무시간보다 적은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위험이 있어, 남용 시 위법 판결이 내려지기도 한다.

특히 연차수당은 근로기준법상 휴식을 보장하는 취지에 따라 포괄임금과는 별도로 지급해야 한다.

  • 플립 칩[flip chip]

    메모리 칩을 기판에 탑재할 때 금속선(와이어)를 이용하는 기존의 방식대신 범프 볼(Bump...

  • 파이낸셜 포비아[financial phobia]

    사람들이 돈문제로 겪는 받는 심리적, 육체적 고통을 받는 증상을 말한다. 가슴 답답함과 심...

  • 프라이빗 뱅커[private banker]

    고액 자산가의 자산 관리를 도와주는 금융회사 직원을 말한다. 이들은 거액자산가를 대...

  • 플래시[flash mob]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 모여 짧은 시간 동안 주어진 행동을 하고 곧바로 흩어지는 행위를 뜻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