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품질명장제

 

10년 이상 현장에서 근무하고 품질분임조 활동경력이 5년 이상인 사람 중에서 장인정신이 투철한 사람을 선발, 대통령이 직접 지정패를 수여하는 제도다. 공업진흥청이 산업현장의 건전한 근로풍토조성을 위해 1991년부터 선발하기 시작했다. 품질명장이 되면 사내에서 급여외에 별도로 명장수당을 지급받고 인사상의 특전도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 직장 동료로부터 신뢰와 존경을 받게 된다. 품질명장이 되기 위해서는 근무태도와 능력, 인간관계 등 총 18개 항목에 대한 평가를 받는데 우선 상급자와 동료 그리고 하급자 2명으로 구성된 사내 평가를 받아야 하고 또 전년도 품질명장과 공진청 공무원으로 구성된 현지 심사반에 의한 현지 확인 심사, 공진청 품질명장 선발 심사위원회의 최종 평가 등을 거쳐야 한다.

  • 펜트업 효과[pent-up effect]

    억눌렸던 수요가 급속도로 살아나는 현상으로, 외부의 영향으로 수요가 억제됐다가 그 요인이 ...

  • 프로그램 매매[program trading]

    기관투자가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종목을 일시에 대량으로 자동매매하는 방식의 거래를...

  • 폐업컨설턴트

    법인등의 사업체가 사업부진으로 청산할 때 가능한 자산손실 적게 하여 청산가치를 높일 수 있...

  • 파생외환상품

    시장상황이 계속 변하기 때문에 환율이나 금리 주가의 변동으로 자산의 가치가 떨어질 위험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