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통화 공급량

 

금융기관 이외의 민간부문이 보유하는 현금통화, 예금통화, 준통화 등의 잔고를 말한다.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예금통화)의 합계를 통화(M1), 여기에 저축성예금(준통화)을 더한 것을 총통화(M2), 그리고 총통화에 비통화기관 예수금, 금융채권 발행액, 상업어음 매출액, 양도성예금증서 발행액을 합한 것을 총유동성(M3)이라고 한다. 통화공급은 물가나 경기동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각국마다 핵심적인 금융정책 과제로 중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책적으로 증가율의 목표치를 설정해 통화공급량을 조절하고 있다.

  • 통화승수[money multiplier]

    총통화량을 의미하는 광의통화(M2)를 한국은행이 공급하는 본원통화(고성능 화폐: high-...

  • 투자전략[investment strategy]

    주식, 사채, 현금, 상품, 부동산 등의 자산에 투자비율을 설정하는 계획. 투자전략은 이자...

  • 트럼프 트레이드[Trump trade]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당선 또는 주요 정치적 행보에 따라 영향을 받는 특정 산업...

  • 탄소 중립[carbon neutrality]

    개인이나 회사, 단체가 배출한 만큼의 온실가스(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 배출량을 ‘0’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