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통화 공급량

 

금융기관 이외의 민간부문이 보유하는 현금통화, 예금통화, 준통화 등의 잔고를 말한다.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예금통화)의 합계를 통화(M1), 여기에 저축성예금(준통화)을 더한 것을 총통화(M2), 그리고 총통화에 비통화기관 예수금, 금융채권 발행액, 상업어음 매출액, 양도성예금증서 발행액을 합한 것을 총유동성(M3)이라고 한다. 통화공급은 물가나 경기동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각국마다 핵심적인 금융정책 과제로 중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책적으로 증가율의 목표치를 설정해 통화공급량을 조절하고 있다.

  • 특별회계

    특정한 지출을 목적으로 하는 예산이다. 특정 용도를 사전에 정해 놓은 돈이다. 재정투융자특...

  • 퇴직수당 충당부채

    공무원·군인연금 등의 국가가 지급을 책임져야하는 연금의 가입자가 퇴직할 경우 일시에 지급해...

  • 통합재정

    예산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예산으로 구분된다. 중앙정부 예산은 다시 일반회계와 23개 특별...

  • 투자중개업[brokerage]

    금융회사(증권사)가 타인의 재산으로 금융투자상품에 투자하거나, 증권의 발행, 인수, 청약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