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통화 공급량

 

금융기관 이외의 민간부문이 보유하는 현금통화, 예금통화, 준통화 등의 잔고를 말한다.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예금통화)의 합계를 통화(M1), 여기에 저축성예금(준통화)을 더한 것을 총통화(M2), 그리고 총통화에 비통화기관 예수금, 금융채권 발행액, 상업어음 매출액, 양도성예금증서 발행액을 합한 것을 총유동성(M3)이라고 한다. 통화공급은 물가나 경기동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각국마다 핵심적인 금융정책 과제로 중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책적으로 증가율의 목표치를 설정해 통화공급량을 조절하고 있다.

  • 특별예금

    다른 여러 가지 예금에 속하지 않는 예금으로서 환, 대출, 보관 등 은행업무에서 발생하는 ...

  • 투자자 숙려제도

    ELS난 ELF와 같은 고 위험성의 파생결합증권 청약후 대상투자자가 상품구조 및 위험 등을...

  • 트윈데믹[twindemic]

    비슷한 두 개 이상의 질병이 동시에 유행하는 상황. '쌍둥이'를 뜻하는 'twin'과 '세...

  • 택스마게돈[Taxmageddon]

    세계 각국이 늘어만 가는 정부 지출에 충당하기 위해 세금을 대폭 올리는 것을 빗댄 조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