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콘드라티예프 파동

[Kondratieff cycle, Kondratieff wave]

구소련 경제학자 니콜라이 콘드라티예프가 1920년대에 주장한 이론.

그는 서방 자본주의 경제에서 철도 전기와 같은 대발명은 50년을 주기로 나타나기 때문에 한 나라 경기도 40~60년을 주기로 호황과 불황이 크게 순환한다 것이 이 이론의 골자다.

이 순환을 만드는 건 기술혁신이다. 통상적으로 제품을 개발해 표준화될 때 까지 기업매출은 증가한다.

통상적으로 제품을 개발해 표준화될 때까지 기업 매출은 증가한다. 그래서 이 시기엔 기업가의 혁신 동력이 약하다. 하지만 시장에서 품질 표준이 형성되고 제품이 ‘일반적인 상품’이 되면 상황은 달라진다. 소비자는 열광에 대한 대가로 추가금을 낼 의향이 없다. 위기감을 느낀 기업들은 신기술에 투자하고, 혁신이 이뤄지면 새로운 활황이 시작된다. 1780년대의 섬유산업, 1840년대 증기기관과 철도, 1890년대 전력, 1940년대 자동차, 1990년대 컴퓨터 기술이 그렇게 출현했다.

하지만 이 이론의 시대적 배경이 된 1920년대와 지금은 다르다. 증강현실 시대가 현실화됨에 따라 모든 경제활동의 주기가 짧아지는 이른바 "경기순환의 단기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학계에서도 이 장기변동이론이 힘을 잃은 지 오래됐다.

  • 코스메티컬[cosmetical]

    코스메슈티컬은 화장품(cosmetics)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다....

  • 컨시어지 서비스[concierge service]

    컨시어지는 원래 ''관리인'', ''안내인''을 뜻하는데 요즈음은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

    인터넷으로 연결된 초대형 고성능 컴퓨터(데이터센터)에 소프트웨어와 콘텐츠를 저장해 두고 필...

  • 클린 네트워크[clean network]

    5G 통신망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등에 미국이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한 중국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