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카오스 이론

[chaos theory]

언뜻 무질서하게 보이는 복잡한 현상이라도 배후에는 정연한 질서가 감추어져 있다는 이론이다. 혼돈이론의 기본 전제는 예측불허성이다. 즉 초기조건이 조금만 달라져도 결과는 크게 바뀌어 예측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이 혼돈이론의 근본 개념이다.

그러나 예측이 불가능하더라도 원인과 결과가 없는게 아니다. 수많은 초기조건 중 특정 결과에 항상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초기조건을 찾아내면 결국 복잡성 속에 숨어있는 질서를 찾아내게 되는 것이다.

퍼지가 주관적인 결정을 하는 데 비해 카오스는 객관적인 이론체계를 만든다. 즉, 어떤 시스템에서 그 시스템 자체에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인간의 뇌에 가까운, 다시 말하면 스스로 생각하고 창조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카오스 이론은 화상압축, 로봇제어, 생체막 형성, 화상인식 등에 응용할 수 있다.

  • 컨시어지 서비스[concierge service]

    컨시어지는 원래 ''관리인'', ''안내인''을 뜻하는데 요즈음은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 코로나 휴교령

    2020년 정부가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 모든 유치원과 초·중·고교, 특수학교...

  • 콩코드 효과[Concorde effect]

    돈이나 노력, 시간 등을 투자하는 과정에서 손실이나 실패로 이어질 것을 알면서도 그만두지 ...

  • 큰 손[operators]

    거액투자자로서 증권시장에서 주식을 매도 또는 매수하여 시황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개인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