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카오스 이론

[chaos theory]

언뜻 무질서하게 보이는 복잡한 현상이라도 배후에는 정연한 질서가 감추어져 있다는 이론이다. 혼돈이론의 기본 전제는 예측불허성이다. 즉 초기조건이 조금만 달라져도 결과는 크게 바뀌어 예측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이 혼돈이론의 근본 개념이다.

그러나 예측이 불가능하더라도 원인과 결과가 없는게 아니다. 수많은 초기조건 중 특정 결과에 항상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초기조건을 찾아내면 결국 복잡성 속에 숨어있는 질서를 찾아내게 되는 것이다.

퍼지가 주관적인 결정을 하는 데 비해 카오스는 객관적인 이론체계를 만든다. 즉, 어떤 시스템에서 그 시스템 자체에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인간의 뇌에 가까운, 다시 말하면 스스로 생각하고 창조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카오스 이론은 화상압축, 로봇제어, 생체막 형성, 화상인식 등에 응용할 수 있다.

  • 콜ELW[call ELW]

    특정 주식이나 주가지수를 미리 정해진 조건에 살 수 있는 권리(콜 워런트)가 부여된 유가증...

  • 크라우드 펀딩법

    창업 기업이 온라인으로 소액 투자자를 모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법률. ...

  • 코드 인사

    능력 자질 도덕성,그리고 국민의 뜻에 관계없이 인사권자가 정치적 이념이나 성향 등이 비슷하...

  • 키넥트[Kinect™]

    별도의 컨트롤러 없이 사람의 신체와 음성을 감지해 TV 화면 안에 그대로 반영하는 신개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