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저축률
국민경제 전체가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이 그해에 모두 소비되지 않고 남는 부분이 있는데, 이를 저축이라고 한다. 총저축률은 국민경제가 소비나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국민총가처분소득)에서 저축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저축은 투자를 위한 재원으로 쓰인다. 따라서 저축의 증가 없이는 궁극적으로 투자의 증가도 있을 수 없다. 저축은 한 나라의 경제성장과 경제의 자립도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각 나라가 총저축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
첨가소화채
자동차나 주택 구입, 법인설립등기시 의무적으로 채권을 사야 한다. 도시철도채권과 같이 인허...
-
총자본회전율[turnover ratio of total liabilities and net worth]
총자본회전율은 매출액을 총자본으로 나눈 것으로 총자산회전율이라고도 한다. 기업소유의 총자본...
-
차이나 리스크[China Risk]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은 기업이나 국가가 중국이 긴축정책이나 경제적 취약성으로 인해 ...
-
처분가능소득[disposable income]
개인소득에서 세금, 사회보장분담금, 이자비용 등의 비소비성 지출을 뺀 것. 가처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