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저축률

 

국민경제 전체가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이 그해에 모두 소비되지 않고 남는 부분이 있는데, 이를 저축이라고 한다. 총저축률은 국민경제가 소비나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국민총가처분소득)에서 저축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저축은 투자를 위한 재원으로 쓰인다. 따라서 저축의 증가 없이는 궁극적으로 투자의 증가도 있을 수 없다. 저축은 한 나라의 경제성장과 경제의 자립도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각 나라가 총저축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 초박형 영상소자 패키지[Thin Air Cavity Package, TACP]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 및 PC 카메라, 감지감시용 카메라 등에 적용되는 이미지센서 부품으로...

  • 초과사망[Excess mortality]

    초과사망은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사망자 수가 과거 동일 기간의 평균 사망자 수보다 많이 ...

  • 초대형 광탄석운반선[Very Large Ore Carrier, VLOC]

    화물적재량(재화중량) 20만톤 이상의 광석 운반선을 말한다.

  • 초초임계압발전소[ultra super critical coal-fired plants, USC coal-fired plants]

    석탄화력발전소에서 터빈에 유입되는 증기 압력이 246kg/cm² 이상이고 증기온도가 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