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저축률

 

국민경제 전체가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이 그해에 모두 소비되지 않고 남는 부분이 있는데, 이를 저축이라고 한다. 총저축률은 국민경제가 소비나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국민총가처분소득)에서 저축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저축은 투자를 위한 재원으로 쓰인다. 따라서 저축의 증가 없이는 궁극적으로 투자의 증가도 있을 수 없다. 저축은 한 나라의 경제성장과 경제의 자립도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각 나라가 총저축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 초우라늄[Transuranium Elements, TRU]

    우라늄의 92 보다 원자 번호가 큰 원소로 넵튜늄, 플루토늄, 아메리슘, 퀴륨 등으로 초우...

  • 친환경 농산물

    농약과 화학비료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을 말한다. 친환경 농산물은 크게 유기...

  • 청년형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윤석열 정부에서 부활시킨 청년 정책 중 하나. '청...

  • 친디아[Chindia]

    중국 (China)와 인도 (India)의 합성어.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친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