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수요관리

[aggregate demand management]

한 경제체제 안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가 원하는 재화·용역의 총량을 총수요라 하며 이같은 총수요를 조절하는 정책을 총수요관리라 부른다. 다시 말해 국민경제 주체들이 경제활동을 위해 쓰고자 하는 돈의 총액을 관리하는 것이 총수요관리다. 여기서 관리하는 총수요에는 가계의 소비, 기업의 투자, 정부의 재정지출 등이 모두 포함된다. 총수요관리는 보통 경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기가 지나치게 과열되면 수요를 줄이고 너무 위축되면 수요를 늘리는 것이 기본골격이다.

  • 창업투자회사[創業投資會社]

    86년에 제정된 중소기업창업지원법에 의해 중소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고 육성에 기여할 목적으...

  • 추세선[trend line]

    주가흐름의 특성 가운데는 일반적으로 어느 기간 동안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데,...

  • 총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s, ROA]

    수익성을 살펴보는 대표적인 지표로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충자산이익...

  • 추세전환

    주가는 일정한 방향으로 영구히 진행할 수 없다. 상승이 지나치면 하락으로, 또 하락추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