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초미세먼지

[fine particulate matter]

우리나라에서 지름 2.5마이크로미터(머리카락 굵기의 20분의 1 수준) 이하의 먼지를 말한다.
지름 10마이크로미터(머리카락 굵기의 5분의 1 수준) 이하인 미세 먼지(PM10)보다 훨씬 작은 아주 작은 크기의 먼지인 셈이다.

미세먼지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배기가스나 화석연료 연소과정에서 발생한다. 미세먼지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곧바로 폐포까지 도달해 심장질환과 호흡기 질병 등을 일으킨다. 따라서 초미세먼지에 단기간만 노출되어도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심할 경우 조기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초미세 먼지"라는 용어는 우리나라에서만 쓰는 용어이다.

그러나 ‘미세 먼지’의 국제적인 기준은 지름 2.5마이크로미터 이하 먼지(PM.25)를 가리킨다.

국제표준에 맞추기위해 환경부는 2017년 3월21일 먼지의 공식 명칭을 ‘부유 먼지(PM10)’‘미세 먼지(PM2.5)로 개정하기로 했다가 시민에게 설명하기 어렵다며 없었던 일로 돌리고 말았다

  • 최소수입보장[minimum revenue guarantee, MRG]

    민간자본으로 건설되는 도로, 교량, 터널, 경전철 등 사회기반 시설을 만들 때 실제 수익이...

  • 체비지

    토지구획 정리사업을 하면서 사업재원으로 쓰기 위해 확보해 놓은 땅을 말한다. 토지구획 정리...

  • 치마끝선 법칙[Hemline theory]

    패션 행사에 참가한 여성 모델들이 다음 해 유행할 옷으로 입고 나온 치마의 길이가 전반적으...

  • 청약사무취급단

    발행주식의 청약을 받아 투자자에게 매출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청약사무취급단은 주간사회사가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