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식형투자신탁

[stock investment trust]

일반투자자가 맡긴 자금을 투자신탁회사가 주로 우량주식에 분산투자하여 운용하는 신탁을 말하는데, 신탁재산에 편입되는 주식의 성격에 따라 성장형, 안정형, 안정성장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식편입비율은 80, 60, 30, 10%로 대략 구분된다. 주식형투자신탁은 증권투자와 비슷한 성격을 띠고 있어 주가의 등락에 수익률이 좌우되기는 하나 우량주식에 분산투자하여 운용하기 때문에 위험을 극소화할 수 있고 일반투자자의 증권투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객의 입장으로 보면 주식형수익증권이라 부른다.

  • 집중투표제[cumulative voting]

    기업이 두 명 이상의 이사를 선출할 때 3% 이상 지분을 보유한 주주가 요청하면 주주총회에...

  • 쟝르소설

    추리소설은 추리를 기초로 사건이 발달·전개되는 소설을 말한다. 미스터리소설은 초자연적 이야...

  • 재정수지

    정부가 거둬들인 재정의 수입(세입)과 지출(세출)의 차이. 수입이 지출보다 많으면 재정흑자...

  • 자본잠식[impaired capital]

    순자산이 자본금보다 적어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기업이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면, 처음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