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적조현상

[red tide]

바닷물 속에서 1종 또는 몇 종의 플랑크톤이 1㎤당 10만개 이상 증식하여 물이 덩어리 모양이나 띠 모양의 적갈색 혹은 분홍색으로 변하는 현상. 물속의 인, 질소가 늘거나 그밖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담수가 유입되는 연안에서 많이 생긴다. 플랑크톤의 급격한 증식과 사멸, 분해에 의해 산소가 대량으로 소비되고 무산소 수괴(水塊)가 형성됨에 따라 유해한 분해 산물이 축적되어 어패류에 큰 피해를 준다.

  • 자기자본총량규제

    주식이나 채권을 잔존기간, 발행기관, 소속부 등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위험환산율을 적용해 ...

  • 조세피난방지세제

    다국적기업이 법인세 부담이 낮은 곳에 가공회사를 설립, 조세를 회피하는 것을 규율하기 위한...

  • 주식할인발행차액[discounts on stock issued]

    주식발행차액은 주식회사가 신주를 액면가 이하로 발행할 때 액면에서 납입액을 차감한 잔액을 ...

  • 자산배분형펀드

    주식, 채권, 파생상품, 인프라 등 여러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펀드.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