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재정팽창지수

[fiscal impulse indicator, FI]

재정이 경기변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지표. 정부의 재량적 재정운용에 따라 발생하는 재정수지변동분이 국민총생산(GN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되는가로 계산된다. FI가 플러스면 팽창재정, 마이너스면 긴축재정을 뜻하고, 0이면 재정이 경기에 중립적임을 나타낸다. FI는 국제통화기금(IMF)이 1970년대 중반에 개발했으며 현재 미국과 독일 등에서 정책판단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 지문인식 광마우스

    사용자의 지문을 읽어들여 등록된 사람만 컴퓨터를 쓸 수 있게 하는 지문인식 기능과 빛을 이...

  • 장기실명등록채권

    비실명자금을 산업자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정부가 각 금융기관에게 발행토록 허용한 저리의 실...

  • 지속가능경영[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1992년 유엔 지구정상회의에서 인류 차원의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으로 선언한 ‘지속가능개발...

  • 주정배정제

    술을 생산하는 업체들의 술 생산량을 일정한 수준으로 통제하기 위해 정부가 업체별로 술의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