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잠재지분

 

향후 일정한 요건에 따라 행사되는 권리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지분을 말한다. 예를 들어 특정회사의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보유하고 있다면 현재는 주식이 아니지만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일정한 금액을 기준으로 주식으로 전환청구하거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된다. 이러한 경우 현재는 주주 권한을 행사할 수 없지만 주식전환권이나 신주인수권을 행사하면 의결권 등 각종 권한을 갖게 된다.

이밖에 신주인수권증서, 교환사채, 주식예탁증서 등도잠재지분 계산에 포함된다. 최근 기업인수·합병(M&A)이 활성화됨에 따라 기업들이 적대적 M&A를 방어하기 위해 CB나 BW 등을 통해 잠재지분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 기업의 경영권을 노리는 측도 이같은 방식으로 M&A를 실현하려는 움직임을 조이고 있어 잠재지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주가지수 연동예금[Equity-Linked Deposit, ELD]

    주가지수의 변동과 연계하여 수익이 결정되는 은행판매 예금. 투자원금을 정기예금 등의 안전자...

  • 전세금 보장보험

    세입자가 임차한 주택 또는 점포의 경매, 공매, 전세 계약 해지 및 종료 후 전세 보증금을...

  •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

    해당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재료로 그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기술을 말한...

  • 정보사회세계정상회의[World Summit on the Information Society, WSIS]

    날로 커지는 국가간 정보격차 해소 등 정보사회의 당면한 현안을 전세계 인류가 공동의 노력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