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잠재성장력

 

한 나라에 존재하는 모든 생산자원을 최대한 활용했을 때 달성이 가능한 GDP 또는 GNP의 신장률을 말한다. 인력, 기술력, 토지, 자본 등 이용 가능한 모든 생산자원을 동원해 최대한 달성할 수 있는 성장능력을 뜻한다. 경제가 충분히 성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기에 성장 잠재력이 떨어지면 경제가 활력을 잃게 된다. 이는 실업률 증가와 고용 감소로 이어진다. 폭발적인 호황으로 생산요소가 정상수준 이상으로 사용되면 실질성장률잠재성장률을 웃돌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하루에 8시간을 초과하여 일을 하고 일요일에도 과외로 일을 하면 생산요소인 노동과 기계가 정상수준 이상으로 고용된 것이다. 그러나 더 좋은 직장을 찾기 위해 직업을 바꾸는 과정에서 일부 노동력이 유휴상태인 경우도 있고 기계설비를 보수 혹은 정비하기 위하여 기계를 가동시키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실질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도는 경우는 거의 없다.

  • 중앙경제공작회의[China Central Economic Work Conference]

    중국 정부가 한 해의 경제 성과를 돌이켜 보고 국내외 경기 상황에 대해 언급한 회의다. 이...

  • 집합증권투자[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CIS]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끌어모아 기금을 조성한 뒤 유가증권에 투자해 이익금을 나...

  • 자문형 랩

    증권사나 투자자문사의 자문을 받아 운용되는 증권사의 랩어카운트 상품이다. 자문은 증권사나 ...

  • 정보기술협정[Information Technology Agreement., ITA]

    정보기술(IT)제품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 간 관세를 철폐하기 위한 협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