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잠재성장력

 

한 나라에 존재하는 모든 생산자원을 최대한 활용했을 때 달성이 가능한 GDP 또는 GNP의 신장률을 말한다. 인력, 기술력, 토지, 자본 등 이용 가능한 모든 생산자원을 동원해 최대한 달성할 수 있는 성장능력을 뜻한다. 경제가 충분히 성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기에 성장 잠재력이 떨어지면 경제가 활력을 잃게 된다. 이는 실업률 증가와 고용 감소로 이어진다. 폭발적인 호황으로 생산요소가 정상수준 이상으로 사용되면 실질성장률잠재성장률을 웃돌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하루에 8시간을 초과하여 일을 하고 일요일에도 과외로 일을 하면 생산요소인 노동과 기계가 정상수준 이상으로 고용된 것이다. 그러나 더 좋은 직장을 찾기 위해 직업을 바꾸는 과정에서 일부 노동력이 유휴상태인 경우도 있고 기계설비를 보수 혹은 정비하기 위하여 기계를 가동시키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실질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도는 경우는 거의 없다.

  • 전력예비율과 공급예비율

    전력예비율은 전력의 수급상태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예비전력 (공급능력-최대수요...

  • 자기공진 및 형상화기술

    전기차 등의 구동에 필요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이다.

  • 집행권원

    국가의 강제력에 의해 실현될 청구권의 존재와 범위가 표시되고 집행력이 부여된 공정증서를 말...

  • 직불형 카드

    직불카드(마그네틱 또는 IC), 체크카드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 즉시 예금계좌에서 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