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본자산가격결정모델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

자본시장의 균형하에서 위험이 존재하는 자산의 균형수익률을 도출해내는 모형이다. 주식시장에서 주식의 위험은 분산가능위험과 분산불능위험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통제가능위험 또는 비체계적위험이라고도 불리는 분산가능위험은 분산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주식위험의 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형태의 위험은 개별주식에서 나타나는데, 사업유동성 그리고 파산위험이 이 분류에 해당된다.

통제불능위험 또는 체계적위험이라고도 불리는 분산불능위험은 기업의 통제권 밖에 있는 요인에 의해 발생되며 개별주식과 큰 차이가 없다. 구매력, 이자율 그리고 시장위험이 이 분류에 해당된다. 분산불능위험은 주식 분산화로 인한 포트폴리오의 위험 또는 시장 포트폴리오의 위험과 관련된 것으로 이러한 형태의 위험은 베타계수에 의해 측정된다. 자본자산가격결정모델은 주식의 기대수익률이나 필수수익률의 수준에 대한 베타로 측정되는 위험과 관계된다.

  • 전유면적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 법률에 나오는 개념으로, 구분소유권자의 배타적 지배권이 미치는 면...

  • 장기계속공사

    총공사금액으로 발주하고 각 회계연도 예산범위내에서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하는 형태. 따라서 ...

  • 지급지시전달업[MyPayment]

    이용자의 결제·송금 지시를 은행 등 금융회사에 전달하는 업종. 이용자 자금을 보유하지 않고...

  • 조용한 럭셔리[quiet luxury]

    조용한 럭셔리는 과시적인 소비를 지양하고 내면의 가치를 추구하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