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자산가격결정모델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자본시장의 균형하에서 위험이 존재하는 자산의 균형수익률을 도출해내는 모형이다. 주식시장에서 주식의 위험은 분산가능위험과 분산불능위험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통제가능위험 또는 비체계적위험이라고도 불리는 분산가능위험은 분산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주식위험의 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형태의 위험은 개별주식에서 나타나는데, 사업유동성 그리고 파산위험이 이 분류에 해당된다.
통제불능위험 또는 체계적위험이라고도 불리는 분산불능위험은 기업의 통제권 밖에 있는 요인에 의해 발생되며 개별주식과 큰 차이가 없다. 구매력, 이자율 그리고 시장위험이 이 분류에 해당된다. 분산불능위험은 주식 분산화로 인한 포트폴리오의 위험 또는 시장 포트폴리오의 위험과 관련된 것으로 이러한 형태의 위험은 베타계수에 의해 측정된다. 자본자산가격결정모델은 주식의 기대수익률이나 필수수익률의 수준에 대한 베타로 측정되는 위험과 관계된다.
-
작전주
주식시세를 인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차익을 챙기려는 세력이 활동하고 있는 종목을 흔히 작전주...
-
조기경보
조기경보란 보험사들에 대한 보험감독원의 일종의 ‘경고’다. 보감원은 매년 결산이 끝나면 크...
-
자동현행동결
Ratchet 한번 규제를 완화하면 다시는 예전 수준으로 되돌릴 수 없다는 ‘역진 방지 장...
-
정보보호제품 프로파일[Protection Profile, PP]
정보보호제품이 갖추어야 할 보안요구사항들을 국제표준(ISO 15408)에 맞게 작성해 놓은...